종전에 블록체인, 디지털 화폐 등은 일상생활과는 거리가 멀어 보였습니다. 그런데,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체험 사업을 추진합니다. 그에 따라 주요 시중은행 7곳(국민, 신한, 우리, 하나, 기업, 농협, 부산은행)에서 예금토큰을 발행하고, 국민들은 이를 직접 써볼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 CBDC란?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란, 중앙은행이 직접 제조, 발행, 유통하는 디지털 화폐입니다. 종이가 아닌 디지털의 형태로, 발행 비용이 적고 결제 과정도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내 예금이 토큰이 됩니다
예금토큰이란 은행예금을 디지털 형태로 토큰화한 것으로, 일상에서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뜻합니다. 내가 은행 계좌에 넣어둔 돈을 토큰으로 바꿔 결제할 때 일반 화폐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번 실증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금융위원회는 테스트 참여 의향을 밝힌 주요 시중 은행 7곳에 대해 예금 토큰 발행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해당 은행이 발행한 예금 토큰에 대해 예금자 보호 제도를 적용하는 내용을 담은 혁신금융서비스 신규 지정을 완료하였습니다. 이에 예금 토큰을 발행한 후, 이를 시범적으로 사용해 볼 지원자 10만 명을 모집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체크카드와 무엇이 다른가요?
종이돈 없이 결제하는 건 종전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체크카드는 카드사 등이 소비자와 판매자의 거래를 중개해 주는 개념입니다. 예금토큰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습니다. 스마트 계약을 통해 고객의 예금토큰이 판매자에게 바로 송금이 되는 겁니다. 그 결과, 결제 수수료가 적어지고 거래도 더 빨라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금토큰 발행은 한국은행이 준비 중인 CBDC 사업의 일환입니다. 한국은행은 시범 운영으로 예금토큰을 통해 CBDC가 어떻게 활용될 것인지, 기존 결제 방식에 비해 얼마나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는지 등을 관찰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경험할 수 있어요
1. 지정된 시중은행에서 실명으로 전자지갑을 개설합니다.
2. 원하는 금액만큼 예금 토큰을 신청합니다. 은행은 신청 받은 금액만큼 이용자의 예금을 토큰으로 바꿔 전자지갑에 넣어줍니다.
3. 편의점, 서점 등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전자 지갑으로 결제합니다. 이용자의 전자지갑에서 가게의 전자지갑으로 예금토큰이 이동하면서 결제가 되는 원리입니다.
시범 운영은 시행하는 은행마다 시작일이나 참가자 모집 방법이 각각 다르니 각 은행 어플이나 홈페이지를 통하여 자세한 사항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전자지갑이란?
예금토큰을 보관, 관리, 사용할 수 있는 전자적 공간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