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돌보기 요약
- 글로벌 경제가 불안해지자 금값이 계속 올라요
- 금 투자 방법도 더 다양해지는데요
- 금값 상승세가 추춤해질 거란 예측도 있어요
국제 금값이 온스당 2,844.5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금값은 대체로 우상향 그래프를 보여졌어요. 지난 22년간 네 번을 제외하고,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이 없죠. 작년에는 수익률이 약 26%에 달했어요.
불안한 국제 정세가 원인이에요
금값은 경제가 불안해지면 오르는 경향이 있어요. 주식처럼 변동성이 큰 위험자산 대신, 안전자산인 금을 선택하는 투자자가 늘기 때문인데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관세 전쟁' 위기감이 고조되며 금 수요가 늘어난 거죠.
2022년부터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금을 사든 것도 금값 상승에 기여했어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졌는데요. 때문에 신흥국 중앙은행이 금을 많이 사들였어요. 작년 세계금융위원회(WGC)가 68개국 중앙은행에 물어본 결과, 10곳 중 3곳은 향후 1년간 금 보유를 늘릴 예정이라 답했죠.
한국은행은 어떨까?
반면, 한국은행은 금 투자에 적극적이지 않아요. 2013년 금 40톤을 샀던 것이 마지막이죠.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은 그 가치가 안전하게 유지되고 상시 현금화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했어요. 즉, 수익성보다 안전성과 유동성이 우선이라는 입장이죠.
투자 방식도 다양해져요
금값이 오르자 소액으로 금에 투자하는 사람도 늘었어요. 돌잔치에 1g짜리 미니 금반지와 금수저가 등장하긴 했지만, 금을 0.01g 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e금 거래에도 투자자가 몰리고 있는데요. e금은 실물 금과 동일한 가치의 디지털 자산으로, 금값이 상승하면 e금 가격도 함께 올라요.
중국은 가상자산 거래가 불법이어서 금 수요가 더 큰 편이에요. 지난해에는 중국의 경기가 둔화하며 금 투자에 관심 갖는 중국인이 급격히 늘었죠. 특히 '금공'(Gold beans)을 사려는 중국 Z세대가 눈에 띄었어요. 무게가 1g밖에 되지 않는 금공은 금괴만큼 가격대가 높지 않아 중국 사회 초년생에게 인기가 많아요.
상승세가 꺼진다는 예측도 있어요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3개월 전까지만 해도 올해 금값이 3천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 예상했어요. 금을 ‘2025년 최고의 원자재 거래 품목’으로 선정하기도 했죠. 그러나 최근에는 올해 2,910달러를 찍는 데 그친다며 예상치를 낮췄어요. 금인하 속도가 둔화되면 달러 강세가 계속되어 금값 상승세를 이어가기가 어렵다고 본 거예요.
금값이 떨어질 거라 예상하는 기관도 있어요
가장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곳은 바클레이스(Barclays)와 맥쿼리(Macquarie)인데요. 두 곳은 금값이 올해 연말까지 약 4% 하락해 2,500달러까지 떨어질 거라 내다봤죠. 올해도 달러 강세가 계속되어 금값 상승세를 이어가기 어렵다고 본 거예요.
은값도 덩달아 올라요
은 역시 금과 함께 안전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요. 최근 은 채굴량이 줄어 공급량은 줄어드는 반면, 인공지능(AI)과 전기차 산업 발전으로 수요가 늘어난 것도 원인 중 하나예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