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프리랜서 해촉증명서 활용하기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는 소득과 재산에 따라 건강보험료가 책정돼요. 만약 재산에 변동이 없었더라도 전년도에 갑자기 높은 소득을 얻었다면,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로 인해 건강보험료가 오를 수 있죠.
프리랜서의 경우 매년 동일한 소득이 생기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갑자기 오른 건강보험료가 부담이 될 수 있어요. 이런 문제를 해결할 때 필요한 게 바로 해촉증명서랍니다.
프리랜서 해촉증명서란?
해촉의 사전적 정의는 '말껐던 직책이나 자리에 물러나게 하다'라는 의미에요. 즉, 해촉증명서는 말았던 직책이나 자리를 그만둬, 더 이상 그곳에서 돈을 벌고 있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죠. 더 이상 많은 수익을 기대할 수 없다는 걸 해촉증명서로 증명해야 건강보험료가 현재 버는 소득 기준보다 초과해서 부과되지 않는답니다.
해촉증명서 발급 및 제출방법
프리랜서 해촉증명서는 발급받기 까다롭지 않아요. 직장에 재직증명서를 요청하듯, 본인이 일했던 곳에 해촉증명서를 요청하면 됩니다.
따로 해촉증명서 양식이 존재하는 건 아니지만, 아래 내용은 필수로 들어가는 게 좋아요. 일했던 곳에서 따로 구비해둔 해촉증명서 양식이 없을 수 있으니 미리 양식을 준비해 전달드리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해촉증명서에 들어가야 하는 내용
- 신청인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 회사명, 재직(위촉) 기간
- 발급 용도
- 발급일과 직인
관할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에 발급받은 해촉증명서 팩스로 발송
관할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에 발급받은 해촉증명서를 팩스로 발송하면 모든 절차가 끝나요. 서류가 잘 접수되면 반영된 그동안 과납했던 건강보험료를 환급받을 수도 있습니다.
해촉증명서 발급을 거부할 경우
일했던 곳과 좋지 않게 헤어져 해촉증명서를 요청하기 곤란하거나, 일했던 곳에서 발급을 거절하는 경우도 있죠. 이럴 땐 국민건강보험단에 해당 업체에 대해 이야기를 전하고 문의하는 게 좋아요.
지금까지 프리랜서의 건강보험료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갑자기 오른 프리랜서 건강보험료에 놀라셨다면, 오늘 알려드린 내용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