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리랜서 연말정산 방법

by psyche2007 2025. 1. 3.
반응형

 

프리랜서도 연말정산을 해야 할까요? 프리랜서는 직장인처럼 세금을 회사에서 신고해 주는 것이 아니라,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 그래서 연말정산을 하는 프리랜서 유형과 절세 가이드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프리랜서는 사업소득자

사업소득자는 급여를 받을 때 세금 3.3%를 떼고 받습니다. 이때의 소득은 사업소득입니다. 사업소득 정산은 연말정산이 아니라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이루어집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연말정산을 해야 하는 사업소득도 있어요. 주로 다음 직장에 근무하는 프리랜서들이 해당될 수 있어요.

 

연말정산을 해야 하는 사업소득자

아래에 해당하는 분들은 연말정산을 통해 소득세를 징수하게 됩니다.

  1. 보험설계사, 보험모집인
    독립된 자격으로 보험 가입자 모집 및 이에 부수되는 용역을 제공하고 그 실적에 따라 모집수당 등을 받는 사람
  2. 방문판매원
    영업자를 대신하여 방문판매업을 수행하고 그 실적에 따라 판매수당 등을 받거나 후원방문판매조직에 가입하여 후원방문판매업을 수행하고 후원수당 등을 받는 사람
  3. 음료배달판매원
    독립된 자격으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사업을 개설하지 않고 음료품을 배달하는 계약 배달 판매 용역을 제공하고 판매 실적에 따라 판매수당 등을 받는 사람

 

프리랜서 연말정산은 뭐가 다를까요?

프리랜서는 직장인과 다르게 필요경비를 소득에서 빼고 세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세금을 줄이는 데 매우 요긴하게 활용되니, 아래 항목들을 눈여겨봐 주시기 바랍니다.

 

💡 필요경비 대표 항목

임차료 (사업에 필요한 고정자산 임차), 차량, 교통 및 여비, 경조사 지출, 교육훈련비, 도서 구입비 및 인쇄비, 휴대폰 통신비,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차입금 (대출) 및 상환 이자

 

프리랜서 공제 항목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를 직접 신고해야 한다면 아래 공제 항목들도 놓치지 말고 꼭 챙겨 보시기 바랍니다. 대표적인 프리랜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항목들을 정리했습니다.

 

소득공제

  1. 인적공제
    • 대상: 납세자 본인, 배우자, 부양가족
    • 금액: 1인당 150만원
  2. 연금보험료공제
    • 대상: 국민연금 보험료 등 공적연금 개인부담금
    • 금액: 전액
  3. 노란우산 공제
    • 대상: 소기업 및 소상공인, 프리랜서
    • 금액: 최대 500만 원 (소득 4,000만 원 이하)

 

세액공제

  1. 자녀 세액공제
    • 자녀 1명: 15만 원
    • 자녀 2명: 35만 원
    • 자녀 3명 이상: 1인당 30만 원
  2. 기부금 세액공제
    • 대상: 납세자 본인 또는 부양가족이 기부한 금액
    • 세액공제율: 15%~30%
  3. 연금계좌 세액공제
    • 대상: 개인형 퇴직연금 가입자
    • 세액공제율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13.2%
  4. 기장 세액공제
    • 대상: 간편장부 대상 사업자 중 복식부기를 작성한 경우
    • 금액: 최대 100만 원 (복식부기로 작성된 장부에서 소득 금액에 부과된 세액의 20%)

 

지금까지 프리랜서 연말정산 방법과 절세를 위한 주요 포인트들을 짚어 봤습니다. 대부분 프리랜서의 세금 신고는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로 이루어지지만, 연말정산을 해야 하는 프리랜서도 있다는 점! 프리랜서라면 언제 세금을 신고해야 하는지, 꼭 체크해봐 할 대표적인 공제 항목들은 무엇인지 확인하여 최적의 세금 신고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