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더 많은 사람이 복지 혜택을 받게 돼요

by psyche2007 2025. 1. 13.
반응형

 

1. 기준 중위소득 상승


올해 기준 중위소득이 4인 가구 기준 609만 7,773원, 1인 가구 기준 239만 2,013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작년 대비 각각 6.42%, 7.34% 오른 것입니다. 

 

★ 기준 중위소득이란?
대한민국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값입니다. 급여별 선정 기준 및 생계급여 보장수준에 사용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 높아지면 더 많은 사람이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2. 급여별 변화

 

생계급여
4인 가구 기준 2024년 183만 3,572원에서 195만 1,287으로 인상되어 약 12만 원을 더 받을 수 있게 됩니다. 1인 가구 기준으로는 71만 3,102원에서 76만 5,444로 약 5만 원 올랐습니다.

 

의료급여
건강생활유지비가 월 6,000원에서 1만 2,000원으로 2배 높아졌습니다.

 

주거급여
임차 가구의 기준 임대료를 작년 대비 급지·가구원 수별 1만 1,000원 ~ 2만 4,000원 올리고, 자가 가구의 주택 수선비용을 작년 대비 133~360만 원 인상합니다.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가 5% 오릅니다. 초등학생 48만 7,000원, 중학생 67만 9,000원, 고등학생의 경우 76만 8,000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생계급여 수급 대상 증가


더 많은 저소득층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2,000cc, 500만 원 미만인 자동차를 가지고 있다면 차량가액의 4.17%만 월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자동차 재산이 과도하게 잡히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기준에는 부양의무자가 ‘연 소득 1억 원 또는 일반재산 9억 원 초과'할 경우 생계급여 수급에서 탈락했는데요. 부양의무자 기준을 ‘연 소득 1.3억 원 또는 일반재산 12억 원 초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노인 근로소득 공제 기준 완화
노인의 경제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추가 공제 적용 대상을 75세 이상에서 65세 이상으로 확대합니다. 65세 이상 노인은 근로·사업소득액에서 먼저 20만원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에 대해 30%를 추가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