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1월 부가세 신고 31일까지 연장

by psyche2007 2025. 1. 9.
반응형

사장님, 창업 초기에 가장 막막했던 순간이 언제였나요? 아마도 세금 신고 관련 업무를 처음 마주했을 때가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부가가치세 신고는 처음 접하는 사업자들에게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죠. 기간을 놓치면 가산세 부담이 생길 수 있다는 점도 큰 걱정거리입니다.

 

국세청 홈페이지
국세청 홈페이지

 

부가세 신고란?

부가세 신고란, 사업자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면서 받은 부가가치세를 정리해 납부하거나 환급받는 과정입니다. 과세 기간은 보통 6개월 단위로 나뉘며, 1월과 7월에 신고 기간이 진행됩니다. 이때 신고를 정확히 하지 않으면 가산세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어 꼼꼼한 준비가 필수입니다.

 

부가세 신고 대상자는?

부가세 신고 대상자는 주로 아래와 같은 사업자들입니다. 

  • 일반과세자: 부가가치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하는 사업자
  • 간이과세자: 일정 기준 이하의 매출을 가진 사업자
  • 신규 사업자: 사업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초보 사업자

💡 부가세 신고 주의사항
매출이 1원이라도 발생한 사업자라면 부가세 신고는 필수로 진행하셔야 합니다. 특히, 첫 신고에서는 준비해야 할 항목이 많으니 꼼꼼한 확인이 필수입니다.

 

부가세 신고 체크리스트

만약 직접 부가세 신고를 준비하신다면 아래 항목들을 꼼꼼히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1. 매출/매입 내역 정리

세금계산서와 영수증 등을 기반으로 매출과 매입 데이터를 정확히 준비해야 합니다.

 

2. 필요한 서류 준비
홈택스 로그인 정보, 사업자 등록증, 매입/매출 명세서 등 신고에 필요한 문서를 사전에 준비하세요.

 

3. 예상 세액 계산
매출과 매입을 비교해 납부할 세액 또는 환급 받을 금액을 대략적으로 계산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4.신고 기한 확인
부가세 신고는 1월과 7월로 정해져 있으니, 반드시 기한 내에 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직접 챙기려면 시간도 많이 들고 실수할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처음 신고를 준비하신다면 더더욱 막막함을 느끼실 수밖에 없습니다.

 

국세청은 2024년 하반기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기한을 이달 31일까지로 나흘 연장한다고 7일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는 신고 기한에 주말과 설 연휴(28∼30일)가 이어져 있는 점을 고려한 것입니다. 다만, 연휴 직후 하루 만에 신고·납부가 마감되니 가급적 귀향 전 신고를 마무리해달라고 국세청은 당부했습니다.

아울러 수출·중소기업 등 자금 유동성 확보가 필요한 사업자는 이달 31일까지 환급 신고 시 부당환급 혐의가 없으면 환급금을 2월 7일까지 조기에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환급은 2월 18일까지 지급됩니다. 

재난·재해나 사업에 현저한 손실 등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사업자의 경우 납부 기한 연장을 신청하면 최대 9개월까지 지원합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피해자와 유가족에는 직권 납부 기한 연장, 환급금 조기 지급뿐만 아니라 신고 기한도 적극적으로 연장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7073500002?input=1195m

 

설연휴 겹친 927만 부가세 신고, 이달 31일까지 나흘 연장 | 연합뉴스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국세청은 2024년 하반기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기한을 이달 31일까지로 나흘 연장한다고 7일 밝혔다.

www.yna.c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