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월 첫째주 경제기사 ① 국내 경제

by psyche2007 2025. 2. 7.
반응형

 

 

설 명절 연휴가 끝난 2월, 국내외 경제는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며 세계 경제에 긴장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월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되며 수출 의존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고, 소비 위축으로 내수 경기도 흔들리고 있습니다. 

 

1월 무역수지 적자 전환

새해 첫 달 한국의 수출은 전년 대비 10% 감소했습니다. 다만,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줄어든 탓에 전체 수출액이 감소한 것일 뿐 하루 평균 수출액은 24억 6천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7.7% 증가했습니다. 내수 부진 속에서도 수출이 버팀목이었지만, 1월 무역수지 적자 전환으로 올해 경제 성장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향후 반도체, 자동차, 2차 전지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타격으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조업일수
기업이나 공장이 실제로 가동하여 생산 활동을 하는 날의 수. 주말, 공휴일, 연휴 등으로 인해 공장이 쉬는 날은 조업일수에 포함되지 않음

 

지난해 소비 21년 만에 최악

지난해 소매판매가 21년 만에 가장 크게 감소했습니다.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보다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소비재별로 승용차 등 내구재(-3.1%),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4%)와 의복 등 준내구재(-3.7%)에서 부진했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금리 인하가 필요하지만,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한국은행이 쉽게 금리 인하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새로운 AI 동맹 구축

1월 말, 중국이 저비용으로 만든 AI 모델 '딥시크'가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에 오픈 AI의 샘 올트먼 CEO는 빠르게 AI동맹 구축에 들어갔습니다. 그는 한국과 일본 반도체 기업들을 방문하며 새로운 동맹 강화에 나섰고,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과 만나 오픈 AI 모델용 반도체 및 단말기 개발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결국 저가 커피도 가격 인상

커피 브랜드들이 가격 인상에 나섰습니다. 원두 가격 폭등, 원-달러 환율 상승, 인건비와 물류비 상승, 가맹점 수익성 등을 고려하면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합니다. 컴포즈커피는 론칭 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올렸으며, 지난달 스타벅스도 톨사이즈 음료 가격을 인상하여 아메리카노 가격은 4500원에서 4700원, 카페라테 가격은 5000원에서 5200원이 됐습니다. 커피 뿐만 아니라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상승 등으로 전반적인 물가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