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8

로봇이 일하는 시대, 로봇세 도입 찬성 VS 반대? 1. 여러 분야에서 일하는 로봇이제는 식당에 가도 서빙해주는 로봇이 어색하지 않아요. 이제는 단순한 서빙이나 제조를 넘어 고차원적인 작업도 수행할 수 있게 발전하고 있죠. 얼마 전 로봇이 실내가 아닌 공원이나 인도를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봐도 이제 로봇과 함께하는 생활은 이미 일상 깊숙이 다가와 있음을 알 수 있어요.2. 일하는 로봇이 야기하는 사회 문제① 일자리 소멸로봇이 일을 대신해 주면 정말 편할 거예요. 하지만, 장점이 있어도 단점도 있기 마련. 그만큼 사람의 일자리는 줄어들 거예요. 로봇은 휴식이 필요하지 않고 사람에 비해 높은 생산성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점차 사람을 고용하는 사장님들은 줄어들 거예요. 그런 사람들은 또 다른 일자리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에 따른 비용 부담이 따를 거.. 2025. 2. 14.
부가가치세 별도 계산, 불법 아닌가요? 10% 부가가치세, 왜 소비자가 내는 건데? 내라니까 내긴 하는데.. 왜 10% 부가가치세를 소비자가 부담하는 건지 그 개념은 잘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많아요.부가가치세는 ‘가치가 더해질 때마다 부과되는 세금’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좀 쉬운데요. 제품이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한 부가가치로 세금을 매기는 시스템인 거죠.우리가 내는 부가세는 사회복지, 공공 인프라, 국가 운영 등에 쓰여요. 즉, 소비자가 부담하는 부가가치세는 우리 모두를 위한 사회 시스템의 유지와 발전에 기여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셈입니다. ‘부가세 별도’ 표기 자체가 불법은 아니다 부가가치세 별도 계산으로 표기하는 것 자체는 불법이 아니에요. 특히 사업자 간 거래(B2B)에서는 부가세를 별도로 표시하는 것이 .. 2025. 2. 13.
명절 상여금도 세금을 내야 하나요? 명절을 앞두고 보너스, 상여금, 떡값, 상품권 등을 지급 받는 직장인 분들이 계실 텐데요. 이때 생기는 궁금증, 명절에 받은 상여금도 세금을 내야 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명절 상여금도 당연히 세금을 냅니다. 상여금이란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통상임금 외에 시기나 조건에 따라 지급하는 금품을 말해요. 명절 상여금 외에도 직책수당, 연월차 수당, 출산 및 보육수당, 성과상여금, 시간외근무수당, 휴가 지원비 등이 포함됩니다. 이런 상여금은 추가적인 급여소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당연히 모두 세금 부과 대상입니다. 세금은 얼마나 떼나요?일반적으로 회사에서는 상여금을 지급할 때 명절이 포함된 달, 또는 다음 달 급여명세서에 상여금을 추가해 지급해요. 이때 명절 상여금이 포함된 급여액에서 세금을 원천징수해 .. 2025. 2. 12.
프리랜서 vs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 차이점 직장을 박차고 나와 프리랜서로 활동하고자 할 때 여러 분야엔 두 가지 선택지가 있어요. 개인 사업자와 프리랜서. 두 가지는 세금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종합소득세 등 세금 측면에서 뭐가 더 유리한지 알려드릴게요. 프리랜서 개인사업자 차이프리랜서는 특정 회사에 소속되지 않고, 자유 계약을 통해 용역을 수행한 대가로 보수를 받아요. 세법에서는 프리랜서를 사업소득자로 규정해, 지급받은 소득에서 사업소득세인 3.3%를 원천징수 해 납부하도록 하고 있어요. 개인사업자는 말 그대로 주체적으로 사업을 경영하는 사람을 말해요. 개인사업자는 더 이상 원천징수 대상이 아니에요. 보수를 받을 때 세금을 미리 떼지 않는 대신 부가가치세,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함께 소득에 대한 세금을 한꺼번에 납부하면 돼요.  프.. 2025. 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