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8

2025년 몸과 마음, 통장의 건강까지 바꾸는 10가지 행동 오늘은 김경필 경제 칼럼니스트가 제안한 '새해 결심이 작심삼일이 되지 않도록 쉽게 따라 할 수 있으면서도 우리의 몸과 마음을 물론이고 통장의 건강을 챙기고 체질을 개선할 수 있는 10가지 행동'을 권해보고자 한다. 사소한 것 같아도 큰 변화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작은 행동들, 올해는 꼭 실천해 보자. 1. SNS 시간을 의도적으로 줄여보기먼저 당신의 하루 SNS 접속 시간을 확인해 보자. 만일 평균 사용 시간이 1시간 이상이라면 당신은 분명 일상과 소비에 영향을 받고 있을 것이다. 뇌과학자들은 SNS의 몰입은 과도한 후두엽 활성화로 현실감각을 떨어뜨리고 난독증을 유발한다고 경고한다. 당장 시간제한 설정 기능을 통해 SNS의 간헐적 단식을 실천해 보자. 줄어든 시간만큼 얻는 것이 있을 것이다. 2. 재래.. 2025. 1. 28.
안 입는 옷 정리하고 세액 공제 받는 법 계절이 바뀔 때 옷장을 정리하면 늘 버리고 싶은 옷이 보여요. 하지만 헌옷 수거함에 넣기엔 너무 새 것 같아 아깝다면? 이 방법을 써 보세요. 옷도 정리하고 세액 공제도 받을 수 있는 꿀팁이에요. 옷, 책, 생활용품 모두 기부할 수 있어요방법은 바로 비영리단체에 ‘기부’하는 거예요. 아름다운 가게, 굿윌스토어, 옷캔 등 다양한 물품을 기증받는 단체가 있어요.이것들은 기부받은 물품을 정돈해, 필요한 분에게 저렴하게 파는 데요. 이 판매 금액을 도움 필요한 곳에 써요.옷 외에도 생활·주방잡화, 가방·신발 같은 패션 잡화, 아기용 기기, 책과 음반 등 다양한 물품을 기부할 수 있어요. 단체마다 품목이 다른 홈페이지에서 미리 확인하는 게 좋아요.내가 물품을 기부하면 단체는 이 물품의 가격을 책정해 기부금으로 인.. 2025. 1. 27.
입대 전 천 만 원 굴리기 👦 "군인도 목돈 만들고 싶어요" 입대를 앞둔 21살 청년입니다. 군대 가기 전까지 1,000만 원을 모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전역할 때까지 잘 굴리하고 싶어요. 이 돈으로 금이나 주식을 사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정기예금을 들까요? 만약 예금을 든다면 금리를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고민이네요. 👨‍💻 "이렇게 2,500만 원 만드세요" 📌 금, 주식, 예금에 나누어 투자하세요.📌 단, 100만 원은 입출금통장에 남겨두세요.📌 연 6% 이자 주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은 필수예요. 1,000만 원을 금, 주식, 예금에 모두 투자하시길 추천해요. 다만 자산의 특성을 고려해 어떤 자산에 얼마를 투자할지, 투자 비중을 잘 결정해야 하는데요. 투자자산과 안전자산에 8:2 비율로 나누는 것이 적절해 보.. 2025. 1. 26.
만 65세가 되면 할 수 있는 2가지 1.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할 수 있어요 은행 예·적금 이자나 주식 배당금을 받을 때 15.4%를 세금으로 떼는데요. 만 65세부터 이자소득세, 배당소득세를 면제받는 비과세 종합저축에 가입할 수 있어요. 가입 한도는 5,000만원원금 기준으로 5,0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5,000원을 1년 만기 정기예금(이자율 4%)에 납입하면 만기 때 5,200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 일반 정기예금에 가입하면 308,000원을 세금으로 내야 하지만, 비과세 종합저축이라면 세금을 내지 않죠. 개인별 가입 한도가 5,000만 원이기 때문에 여러 금융회사에 나누어 가입할 수 있어요. 세금우대종합저축에 가입했다면?가입한 금액만큼 총한도인 5,000만원에서 빼야 해요. 증권, 보험사에서도 만들 수 있어요은행 .. 2025. 1. 25.
반응형